본문 : 마가복음 10:46-52
46 그들은 여리고에 갔다. 예수께서 제자들과 큰 무리와 함께 여리고를 떠나실 때에, 디매오의 아들 바디매오라는 눈먼 거지가 길 가에 앉아 있다가
47 나사렛 사람 예수가 지나가신다는 말을 듣고 “다윗의 자손 예수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하고 외치며 말하기 시작하였다.
48 그래서 많은 사람이 조용히 하라고 그를 꾸짖었으나, 그는 더욱더 큰소리로 외쳤다. “다윗의 자손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49 예수께서 걸음을 멈추시고, 그를 불러오라고 말씀하셨다. 그리하여 그들은 그 눈먼 사람을 불러서 그에게 말하였다. “용기를 내어 일어나시오. 예수께서 당신을 부르시오.”
50 그는 자기의 겉옷을 벗어 던지고, 벌떡 일어나서 예수께로 왔다.
51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너에게 무엇을 하여 주기를 바라느냐?” 그 눈먼 사람이 예수께 말하였다. “선생님, 내가 다시 볼 수 있게 하여 주십시오.”
52 예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가거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그러자 그 눈먼 사람은 곧 다시 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예수가 가시는 길을 따라 나섰다.
—————————————————-
우리 삶에 하나님의 도우심과 채우심을 받기 위해서는 나의 부족함을 깨닫고 하나님으로부터 채움 받고자 하는 영적인 목마름과 갈증이 있어야 합니다. 강한 목마름과 갈증이 있을 때 하나님께 달려가고, 하나님께 간구하고, 하나님께 매달리는 간절함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강한 목마름과 갈증이 있을 때 하나님의 능력으로 한계를 뛰어넘는 힘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 본문을 보면 목마름과 갈증으로 하나님의 축복을 누린 한 사람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바로 맹인이었던 바디매오입니다. 바디매오에 대해 46절에 이렇게 말합니다. “예수께서 제자들과 큰 무리와 함께 여리고를 떠나실 때에, 디매오의 아들 바디매오라는 눈먼 거지가 길 가에 앉아 있다가” 바디매오는 맹인이었습니다. 거지였습니다. 보지 못하는 맹인이었기에 남에게 빌어 먹고 살아야 하는 거지로 살고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소망도 희망도 없이 살아가는 가장 최악의 상태, 가장 바닥의 상태에 있었던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맹인 거지 바디매오가 예수님을 만나 눈을 떴습니다. 고침을 받았습니다. 성경에는 기록되지는 않았지만 그 후에 영향력 있는 믿음의 사람으로 살았다고 구전에 전해집니다. 이 사건을 통해서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도 소망을 주시는 것입니다. 바디매오의 눈먼 눈이 떠지게 되어 보게 되는 놀라운 삶의 전환을 맞은 것처럼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삶에도 그러한 놀라운 변화의 역사를 일으키기를 원하시는 것입니다.
바디매오가 어떻게 고침을 받게 되었습니까? 그것은 무엇보다 그에게 고침 받고자 하는 강한 갈망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바디매오가 언제부터 맹인이 되었는지를 모릅니다. 언제부터 거지로 길거리에 앉아 구걸하며 살았는지 모릅니다. 어쩌면 태어나면서부터 일지 모르고 어쩌면 사고로 몇 년전에 그렇게 되었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맹인이 되고 걸인이 되면서 인생을 탓하고 원망하면서“이게 내 팔자인가보다. 내 인생은 이렇게 끝나나 보다”라고 낙심하고 포기할 수 있었을텐데 바디매오는 다시 보기를 원하는 소망과 갈망이 꺼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소망과 갈망함이 없으면 변화됨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바디매오처럼 고침 받고 변화 받으면 바디매오와 같은 변화되고 고침 받기를 원하는 갈망함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바디매오가 길가에 앉아 있다가 예수님이 지나간다는 말을 듣고 소리를 듣고 소리를 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47절 “나사렛 사람 예수가 지나가신다는 말을 듣고 “다윗의 자손 예수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분명 바디매오는 예수님이 수많은 병자들을 고치셨다는 소문을 들었었습니다. 그래서 그의 마음에 갈망이 생겼던 것입니다. “내가 예수님만 만나면 나는 눈을 뜰 수 있다”것이다. 바디매오는 오랜 기간 이 소망과 갈망을 품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리에게 예수님에 대한 이러한 갈망이 있어야 합니다. “이 상황과 형편을 보면 일어설 수 없고, 변화될 수 없고, 소망이 없는 것 같지만 분명 주님께 맡기고 주님께서 원하시면 반드시 이 문제는 해결된다. 주님께서 역사하신다”라는 마음의 갈망이 있어야 한다. “분명 하나님께서 변화시켜 주실 것이다. 부흥케 하실 것이다. 새롭게 하실 것이다” 라는 갈망이 있어야 합니다.
바디매오는 눈을 뜨고자 하는 갈망을 마음에 품고 살았고 그 갈망하는 마음으로 예수님을 만나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우리에게도 영적인 갈망함이 있어야 합니다. 나의 부족함, 나의 연약함, 나의 믿음 없음, 내 힘과 결단만으로 되지 않는 답답함과 안타까움, 변화되고자 하는, 주님의 능력으로 채움 받고자 하는, 고침 받고자 하는, 변화되고자 하는 갈망함이 있어야 합니다. 영적인 목마름이 있어야 합니다. 사모함이 있어야 합니다. 영적인 갈망과 사모함이 있을 때 주님께서 채워 주시는 것입니다.
시편 107:9 “주께서 사모하는 영혼을 만족케 하시며 주린 영혼에게 좋은 것으로 채워주심이로다”그 갈망함을 가지고 주님을 만나야 합니다. 주님께 나아가야 합니다. 주님께 부르짖어야 합니다. 그러할 때 주님께서 채워주시고 역사하시는 것입니다.
갈망이 있는 사람의 특징이 있습니다. 부르짖는 것입니다. 기도하는 것입니다. 바디매오를 보십시오. 예수님이 지나가신다는 소리를 듣고 눈이 보이지 않기에 “나사렛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라고 힘을 다해 부르짖는 것입니다. 갈망하면 부르짖으며 간구하게 되어 있습니다. 부르짖으며 기도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별로 원함이 없는데 누가 애를 써서 기도하며, 구하며 부르짖습니까?
바디매오가 갈망하는 마음으로 예수님을 향해 부르짖자 주변 사람들이 방해합니다. 소리를 지르지 말라고 꾸짖습니다. 48절 “그래서 많은 사람이 조용히 하라고 그를 꾸짖었다”사람들이 바디매오에게 ‘조용히 하라’꾸짖고 핀잔을 주었지만 그가 그 말을 들었습니까? 아닙니다. 바디매오는 더 크게 소리를 질렀습니다. “그는 더욱 더 큰소리로 외쳤다. “다윗의 자손님, 나를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여러분 은혜를 받기 전에는 항상 방해 세력이 있습니다. 은혜를 받을 만한 때에 태클이 들어옵니다. 좌절하게 하고, 낙심하게 하고, 은혜의 자리에 나아가지 못하도록 하는 일들이 찾아옵니다. 나로 하여금 기도하는 자리에, 기도하는 일에 방해하는 일들과 상황이 반드시 찾아옵니다. 그러할 때 물러서면 안됩니다.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그것을 알고 반드시 이겨내야 합니다.
바디매오는 주변의 방해에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언제까지 그랬습니까? 예수님께서 돌아서실 때까지 소리를 질렀습니다. 우리에게도 예수님이 돌아서서 응답하실 때까지 부르짖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반드시 주님께서는 우리의 기도를 들으십니다. 우리의 갈급함과 목마름을 채워주십니다. 바디매오가 부르짖으니까 예수님께서 가던 걸음을 멈추시고 응답하셨습니다. 49절 “예수께서 걸음을 멈추시고, 그를 불러오라고 말씀하셨다”
예수님의 부르심을 들었을 때 바디매오는 어떻게 반응합니까? 50절“그는 자기의 겉옷을 벗어 던지고, 벌떡 일어나서 예수께로 왔다” 당시 겉옷은 이불이자 재산이었습니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병사들이 예수님의 겉옷을 제비 뽑아 가질 정도로 귀했습니다. 그런데 거지 바디매오가 자신의 겉옷을 던져버리고 주님께 달려 왔습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이심을 보고 겉옷을 던져두고 배에서 뛰어 내렸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은 이렇게 내어버릴 줄 알아야 합니다. 은혜 받는 자는 자신이 붙잡고 있는 것, 세상에서 귀하다고 여기던 것을 던지는 모습이 있습니다. 나의 죄악, 생각, 교만, 고집, 상황, 형편, 물질, 시간을 던지고 주님께 달려가는 것입니다.
바디매오 그 겉옷을 벗어 던지고 주님께로 뛰어 나갔습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이 뛰었습니다. 어딘가에 쿵하고 부딪힐지 모릅니다. 겁나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주님의 부르심에 앞뒤 보지 않고 뛰어나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왜 변화되지 않습니까? 주님께서 부르시는데 뛰어 나가지 않는 것입니다. 뛰다가 부딪히면 어떻하지, 앞이 보이지 않는데 어떻게 나아가지. 여전히 재는 것입니다. 아닙니다. 믿고 뛰어 나가야 합니다. 찬송 중에 “먹보다도 더 검은”이라는 찬송 후렴에 “주의 보혈 흐르는데 믿고 뛰어 나아가”라는 가사가 나옵니다.
그렇습니다. 믿음은 머뭇거리는 것이 아니라 뛰어 나가는 것입니다. 회개하라는 말씀 앞에 뛰어 나가 내가 죄인입니다 라고 뛰어 나가는 것입니다. 오라 라고 하시는 예수님의 부르심에 폭풍우치는 바다에서 배에서 뛰어 내리는 것이 믿음입니다. 오라 라고 하시는 예수님의 부르심에 바디매오는 앞이 보이지 않아도 믿고 뛰어 나갔습니다. 우리도 이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믿고 주님께 뛰어 나가야 합니다. 당장 눈앞에 어떤 장애가 있다고 해서, 내 생각에, 상황 앞에 머뭇거리고, 좌절하고, 연기하고 포기하는 자가 아니라 뛰어 나가는 결단과 행동이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할 때 주님께서 그의 믿음을 보시고 고쳐 주셨습니다. 눈을 뜨게 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능력과 역사의 손길을 경험했습니다.
우리의 삶에도 바디매오의 갈망이 있기를 원합니다. 내가 변화되기를 원하는 갈망, 내 안에 믿음이 없음을 안타까워하며 큰 믿음으로 주님의 기쁨이 되고, 주님께 쓰임 받는 자가 되기를 소원하는 갈망, 주님께서 마음껏 믿고 쓸 수 있는 깨끗한 그릇이 되기를 소원하는 갈망, 상황과 형편을 이길 수 있는 갈망, 내 자신, 내 고집, 내 욕망을 내려놓고 주님의 소원가지고 살기를 원하는 갈망을 가지고 기도하는 자 되기를 축원합니다. 주님께 한 두번 구하는 자가 아니라 주님께서 역사하실 때까지, 주님께서 발길을 멈추실 때까지 부르짖는 간절함의 기도가 있기를 원합니다. 부르짖지 못하게 하는 방해를 이길 수 있는 용기와 담대함을 달라고 기도하기를 원합니다. 주님께서 부르실 때 겉옷을 벗어 던지고 달려가는 믿음이 있기를 원합니다.
그것으로 그 갈망, 그 부르짖음, 그 믿음의 행동으로 바디매오가 눈을 뜨고, 변화를 받고, 영향력 있는 자가 된 것처럼 우리도 이 시대의 바디매오가 되어 하나님의 역사를 경험하고 주님의 증거자가 되는 변화된 인생, 쓰임 받는 인생이 되기를 주님의 이름을 축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