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열왕기하 4:1-7

1 예언자 수련생들의 아내 가운데서 남편을 잃은 어느 한 여인이, 엘리사에게 부르짖으며 호소하였다. “예언자님의 종인 저의 남편이 죽었습니다. 예언자님께서도 아시다시피 그는 주님을 경외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빚을 준 사람이 와서, 저의 두 아들을 자기의 노예로 삼으려고 데려가려 합니다.”
2 엘리사가 그 여인에게 말하였다. “내가 어떻게 하면 도움이 되겠는지 알려 주시오. 집 안에 무엇이 남아 있소?” 그 여인이 대답하였다. “집 안에는 기름 한 병 말고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3 엘리사가 말하였다. “나가서 이웃 사람들에게 빈 그릇들을 빌려 오시오. 되도록 많이 빌려 와서,
4 두 아들만 데리고 집으로 들어가, 문을 닫고, 그 그릇마다 모두 기름을 부어서, 채워지는 대로 옆으로 옮겨 놓으시오.”
5 그 여인은 엘리사 곁을 떠나, 두 아들과 함께 집으로 들어가 문을 닫고, 그 아들들이 가져 온 그릇에 기름을 부었다.
6 그릇마다 가득 차자, 그 여인은 아들들에게 물었다. “그릇이 더 없느냐?” 아들들은 그릇이 이제 더 없다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기름은 더 이상 나오지 않았다.
7 여인은 하나님의 사람에게로 가서, 이 사실을 알렸다. 하나님의 사람이 그에게 말하였다. “가서 그 기름을 팔아 빚을 갚고, 그 나머지는 모자의 생활비로 쓰도록 하시오.”

——————————————————

오늘 본문에 한 여인이 나옵니다. 엘리사 선지자가 세운 지금으로 말한다면 신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남편을 둔 여인이었는데 그 남편이 죽은 것입니다. 본문은 어떻게 죽었는지를 알려주지는 않지만 설상가상 빚이 많았습니다. 남편의 죽음으로 슬퍼할 사이도 없이 채무자들이 찾아왔고 아내 된 이 여인이 빚을 갚을 상황이나 능력이 없다는 것을 알고 그에게 있는 두 아들을 노예로 팔아 빚진 돈을 받으려고 한 것입니다.

이 여인으로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한 것입니다. 자신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를 들고 선지자 엘리사를 찾아와 호소한 것입니다. 그 상황을 간단히 설명한 내용이 1절입니다. “예언자 수련생들의 아내 가운데서 남편을 잃은 어느 한 여인이, 엘리사에게 부르짖으며 호소하였다. “예언자님의 종인 저의 남편이 죽었습니다. 예언자님께서도 아시다시피 그는 주님을 경외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빚을 준 사람이 와서, 저의 두 아들을 자기의 노예로 삼으려고 데려가려 합니다”자신의 최악의 상황, 즉 남편이 죽고, 빚을 갚지 못해 두 아들이 노예로 팔려가게 된 상황을 엘리사 선지자를 찾아와 호소한 것입니다.

그러자 엘리사가 여인에게 묻습니다. 2절입니다. “엘리사가 그 여인에게 말하였다. “내가 어떻게 하면 도움이 되겠는지 알려주시오. 집안에 무엇이 남아 있소?” 그 여인이 대답하였다. “집안에는 기름 한 병 말고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엘리사가 여인에게 집안에 무엇이 남아 있냐, 즉 무엇을 가지고 있냐고 묻습니다.

과부가 된 이 여인이 대답하기를 한 병의 기름 외에 아무것도 없다고 대답합니다. 그랬더니 엘리사는 온 동네로 다니며 그릇을 많이 빌려 오라고 명합니다. 그 여인은 두 아들과 함께 그 말대로 그릇들을 빌려와서 그 빌린 그릇에 기름을 부었더니 빌려온 그릇에 기름이 채워졌고 더 이상 기름을 담을 그릇이 없을 때 드디어 기름이 그쳤습니다. 그리고 그 기름을 팔아 빚을 갚게 되고 두 아들과 함께 살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본문의 사건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채우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우리를 축복하시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그러나 오늘 본문을 통해서 우리에게 알려 주시는 것은 하나님의 축복, 하나님의 채워주심을 원하면 그릇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릇을 준비한 사람, 준비한 그릇 만큼 채워주십니다. 그릇을 준비한다는 것은 무엇입니까? 그릇은 무엇을 담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그릇은 그 공간에 무엇인가를 채우기 위한 것입니다. 밥을 담으려면 밥그릇이 필요합니다. 국을 담으려면 국그릇이 필요합니다. 무엇으로 채워지기를 기대하는 바가 있는 그것이 그릇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 하나님께 받고자 하는 그릇을 준비하고 나가야 합니다. 다시 말해서 기대를 가지고 나아가야 합니다. 기대 없이, 그릇을 준비하지 않고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배를 드릴 때 은혜 받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대 없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릇을 준비하고 나오지 않으면 받을 것이 없는 것입니다. 은혜 주실 것을 기대하고, 힘을 주실 것을 기대하고, 나에게 주실 하나님의 말씀을 기대하고 나오는 성도들이 하나님이 주시는 은혜를 받고 채움을 받습니다.

우리는 살면서 내가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소경 바디매오를 고쳐 주실 때에도 예수님은 바디매오에게 “네게 무엇을 해 주시기를 원하느냐?” 물으셨습니다. 그러자 바디매오가 “주여 보기를 원하나이다” 대답합니다. 소경에게 무엇을 원하냐고 물으면 소경이 보기를 원한다고 대답했습니다. 눈을 뜨는 축복을 받기를 기대하는 그릇을 준비하고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라고 부르짖어 기도한 것입니다. 그리고 “보기를 원하나이다”라는 기대를 표현하고 구했을 때 주님께서 그 그릇에 채워주셨습니다.

로마서 8:26 “이와같이, 성령께서도 우리의 약함을 도와주십니다. 우리는 어떻게 기도해야 할지도 알지 못하지만, 성령께서 친히 이루다 말할 수 없는 탄식으로, 우리를 대신하여 간구하여 주십니다” 사람들은 대게 자신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안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이 내게 가장 필요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정말로 나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바로 아는 것이 어렵습니다. 왜냐면 우리는 육적이기 때문에, 육신의 눈으로만 나 상황을 보기 쉽기 때문에 영적으로, 진정 나의 문제가 무엇인지, 내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바로 아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내게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가장 잘 알고, 바로 아시는 분은 성령님이십니다.

그렇기 때문에 26절에 성령께서 우리의 약함을 도와주신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무엇을 구해야 할지 모르기 때문에 알게 하시고 대신 간구하여 주신다는 것입니다. 사도행전 3장에 나오는 앉은뱅이가 기대했던 것은 무엇입니까? 돈 몇푼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이 앉은뱅이 역시 그가 진정으로 구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었다는 말입니다. 그때 베드로가 성령으로 충만하여 “은과 금은 내게 없거니와 내게 있는 것 네게 주노니 나사렛 예수의 이름으로 걸으라”고 선포합니다. 그래서 성전 안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구원과 치유를 받았습니다. 앉은뱅이에게 진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바로 알고 준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간구해야 할 가장 우선의 기도가 내 생각에 필요한 무엇을 달라는 기도보다 성령의 충만함을 구해야 합니다. 성령의 충만함으로 바로 볼 수 있는 영안을 달라고, 우리의 눈을 떠서 회개해야 할 죄악, 불구된 나의 영적인 병을 치유해 달라고 기도해야 합니다. 내가 정말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바로 알고 행할 수 있도록 성령의 충만함을 구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성령의 충만함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약속의 말씀을 마음에 품고 그 약속이 나에게 축복이 되고 내 것이 될 수 있도록 그릇을 준비하는 기도가 있어야 합니다. 그럴 때 하나님께서 그 그릇들을 채워주십니다.

참된 기도, 하나님께서 응답하시는 믿음의 기도는 주실 것을 기대하고 기도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약속을 알고 그 약속대로 주실 것을 기대하고 그릇을 들고 기도하는 것입니다. 채워 주실 것, 부어 주실 것을 믿는 것이 기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인간적인 한계, 제약 가운데 살기 때문에 하나님의 공급이 항상 제한적일 것이라는 의심의 생각이 듭니다. 기도하면서 응답될까? 해결될까? 정말 기도하는 것을 이루어 주실까 라는 의심이 듭니다. 우리의 생각을 바꿔야 합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물이 필요해서 바다로 나간다면 얼마만큼의 물을 받아 올 수 있겠습니까? 5갤론 통을 가져간다면 5갤론, 10갤론이면 10 갤런, 1,000 갤런 통을 가져가면 1,000 갤런의 물을 떠 올 수 있습니다. 바닷물은 우리가 다 떠 올 수 없을 만큼의 물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무한대로 주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하나님께서는 내가 5갤론 통을 10개 가지고 가면 10통을 채워주실 수 있고, 100개를 가져가면 100개 10000개를 가져가면 10,000개를 채워 주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제한적인 것은 하나님이 아니시라 우리가 준비한 그릇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하나님이 주신 많은 약속을 붙들고 간절히 기도하면 얼마든지 채워주실 수 있는 분이십니다. 기도는 우리에게 준비된 그릇들이 채워지도록 하는 능력입니다. 하나님 앞에 준비된 그릇을 놓은 다음 약속을 붙들고 간절히 구하며 하나님께서 그 문제를 풀어 주십니다. 채워 주십니다. 무한대로 채워 주십니다. 이것이 기도의 능력입니다.

왕하 4:6 “그릇마다 가득 차자, 그 여인은 아들들에게 물었다. “그릇이 더 없느냐?” 아들들은 그릇이 이제 더 없다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기름은 더 이상 나오지 않았다” 엘리사는 여인에게 이웃에게 빈 그릇을 빌려오되 되도록 많이 빌려 오라고 했고 여인은 그대로 따랐습니다. 그래서 모든 그릇에 기름을 받을 수 있었고 그릇이 없다고 하자 비로써 기름이 그쳤다고 합니다. 결국 제한적으로 작용한 것은 기름이 아니라 그릇이었습니다. 만일 더 많은 그릇을 준비했다면 더 많은 기름을 얻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

많이 기대하고 하나님의 많은 약속을 붙들고 기도로 나간 사람만이 더 많이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너무 작게 제한하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의 지경, 즉 구하는 그릇을 넓혀야 합니다. 구하는 기도를 넓혀야 합니다. 나만을 위한, 내 가족만을 위한 기도가 아닌 교회와 사회와 나라, 세계를 위한 기도로 넓혀야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기도의 양을 넓혀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기대하는 기도, 믿음의 기도를 통하여 역사하십니다. 하나님의 능력, 약속을 믿고 기도의 양을 늘리고 스케일을 늘려 지경이 넓어지고 더 많이 채움 받는 인생이 되기를 원합니다. 우리의 기도가 작은 기도가 아니라 큰 기도가 되기를 원합니다. 영적인 그릇을 많이 준비하는 인생, 풍성한 기도로 우리의 영혼까지 풍성해 지는 인생을 사는 귀한 하나님의 사람들이 되기를 축원합니다.

Category말씀 묵상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