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사무엘하 21:1-6, 14
1 다윗 시대에 세 해 동안이나 흉년이 들었다. 다윗이 주님 앞에 나아가서 그 곡절을 물으니 주님께서 대답하셨다. “사울과 그의 집안이 기브온 사람을 죽여 살인죄를 지은 탓이다.”
2 다윗은 기브온 사람을 불러다가 물어 보았다. 기브온 사람은 본래 이스라엘 백성의 자손이 아니라, 아모리 사람 가운데서 살아 남은 사람들이며, 이미 이스라엘 백성이 그들을 살려 주겠다고 맹세하였는데도, 사울은 이스라엘과 유다 백성을 편파적으로 사랑한 나머지, 할 수 있는 대로 그들을 다 죽이려고 하였다.
3 다윗이 기브온 사람에게 물었다. “내가 당신들에게 어떻게 하면 좋겠소? 내가 무엇으로 보상을 하여야, 주님의 소유인 이 백성에게 복을 빌어 주시겠소?”
4 기브온 사람들이 그에게 말하였다. “사울이나 그의 집안과 우리 사이의 갈등은 은이나 금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는 이스라엘 사람을 죽일 생각은 없습니다.” 다윗이 그들에게 물었다. “그러면 당신들의 요구가 무엇이오? 내가 들어 주겠소.”
5 그들이 왕에게 말하였다. “사울은 우리를 학살한 사람입니다. 그는 이스라엘의 영토 안에서는, 우리가 어느 곳에서도 살아 남지 못하도록, 우리를 몰살시키려고 계획한 사람입니다.
6 그의 자손 가운데서 남자 일곱 명을 우리에게 넘겨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주님께서 택하신 왕 사울이 살던 기브아에서, 우리가 주님 앞에서 그들을 나무에 매달겠습니다.” 왕이 약속하였다. “내가 그들을 넘겨 주겠소.”
14 사람들이 다윗이 지시한 모든 명령을 따라서 그대로 한 뒤에야, 하나님이, 그 땅을 돌보아 주시기를 비는 그들의 기도를 들어주셨다.
———————————————
오늘 본문의 사건은 다윗이 사울 왕이 죽은 후에 왕이 된 후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시대에 3년 연속 기근이 임했습니다. 지금은 댐이나 저수지를 통해 물을 저수하여 몇 년의 가뭄을 견디지만 그 당시 3년 기근은 감당할 수 없는 재앙을 의미합니다. 우리에게도 이렇게 큰 재앙이 임할 수 있습니다. 자연 재해가 아니더라도 우리에게도 고통스럽고 감당하기 어려운 어려움과 문제가 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고난이 닫쳤을 때 해야 할 일이 무엇입니까? 기도해야 합니다. 야고보서 5:13 “여러분 가운데 고난을 받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런 사람은 기도하십시오. 즐거운 사람이 있습니까? 그런 사람은 찬송하십시오” 고난이 오면 기도부터 해야 합니다. 이 말씀을 가슴에 새겨야 합니다. 다윗도 기근이 오자 기도했습니다. 삼하 21:1 “ 다윗 시대에 세 해 동안이나 흉년이 들었다. 다윗이 주님 앞에 나아가서 그 곡절을 물으니, 주님께서 대답하셨다. “사울과 그의 집안이 기브온 사람을 죽여 살인죄를 지은 탓이다”
다윗의 기도와 간구에 하나님께서 재앙의 원인을 알려 주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할 때 기브온 족속들과 평화조약을 맺었었습니다. 그런데 사울 왕이 그 약속을 어기고 기브온 사람을 몰살시켰기 때문에 흉년이 임했다고 하나님께서 알려 주셨습니다. 여기서 무엇을 알 수 있습니까?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간구할 때 답을 주시는 분이십니다. 기도하면 답이 있습니다.
그런데 다윗은 왜 3년째에야 이 기도를 했습니까? 왜 흉년 첫해에 기도하지 않았을까요? 왜 흉년 2년 차에 기도하지 않았을까요? 분명 그때 기도했었더라면 그때 하나님께 답을 주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근이 일찍 끝나지 않았겠습니까? 1,2년차에 다윗이 이 문제에 대해 기도하지 않은 이유는 처음에는 ‘그냥 지나가는 고난인가 보다’ 하고 생각을 했을 것입니다. “이것은 우연히 일어난 재난이겠지. 이 정도쯤이야” 하고 가볍게 생각했던 것일 것입니다.
다윗이 범했던 그런 실수를 우리도 범할 수 있습니다. 우리도 갑자기 비가 내리면 “지나가는 소낙비다”라고 말할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무슨 뜻인지 묻지 않고 지나가기를 바라기가 쉽습니다. 즉 어떤 어려움과 문제를 “어쩌다가 생긴 일이다, 살다 보면 겪는 일이다” 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범하다는 사람은 인생이 원래 다 그런 거라고 생각하고 기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문제와 어려움이 있다면, 풀리지 않는 긴 어려움이 계속된다면 하나님 앞에 원인이 무엇인지 기도하며 찾아야 합니다. 만약 다윗이 기근을 영적으로 민감하게 받아들였다면 1,2년 안에 해결되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다윗은 3년을 끌었습니다. 왜 그러냐면 하나님께 묻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쓸데없는 재앙을 10년 이상, 더 나아가 평생 끄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하나님께 묻고 하나님이 알려 주신대로 고치면 되는데 풀려고 하지 않습니다. 기도로 묻고 답을 얻어 해결하려고 하지 않기에 고난 속에 살아갑니다. 어리석은 자입니다.
그런 사람을 성경에서 강퍅한 사람, 완강한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표현으로는 고집불통인 사람, 고집스러운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이 어리석은 사람이 아닙니까? 애굽의 바로 왕이 그러했습니다. 출애굽기 7장에서 그는 10가지 재앙을 당하고 망합니다. 10번의 재앙을 다 당하기까지 고집을 부렸고 그만큼 완강했다는 말입니다. 만약 첫 번째 재앙이 임했을 때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대로 이집트 백성을 보내겠습니다” 라고 했으면 한번으로 끝나는 것 아닙니까? 그런데 그는 불순종했고 고집을 부렸기에 10가지 재앙을 다 당하고 결국 망한 것입니다.
다윗은 하나님을 믿고 섬기는 사람인데 3년동안 묻지 않았습니다. 이 사건을 통해 우리에게 주시는 메시지가 무엇입니까? 문제가 생겼을 때 하나님께 좀 더 빨리 물어 보라는 것입니다. 어리석게 3년 이상 끌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주님께서 말씀하시면 빨리 순종하라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기도함으로 묻고 돌이키고, 회개하고 결단하여 하나님의 뜻대로 따라야 합니다. 바로가 망한 이유, 솔로몬이 망한 이유, 삼손이 망한 이유, 이스라엘 백성들이 고통 중에 망한 이유가 바로 기도함으로 묻고 돌이키는 회개와 순종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하나님, 제 고집이 꺾이기를 원합니다. 하나님, 제 완강한 마음이 꺾이기를 원합니다. 제가 깨달아야 할 회개할 죄와 행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깨닫게 하소소” 기도해야 합니다. 이사야 1장에도 비슷한 맥락의 말씀이 나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는 모습에 탄식합니다. 그런데 그들이 말씀을 듣지 않는 자체가 하나님의 심판이었습니다. 이사야 1:5-6 “너희가 어찌하여 매를 더 맞으려고 패역을 거듭하느냐 온 머리는 병들었고 온 마음은 피곤하였으며 발바닥에서 머리까지 성한 곳이 없이 상한 것과 터진 것과 새로 맞은 흔적뿐이다”
기도하지 않고, 하나님의 뜻을 묻지 않고, 말씀대로 순종하지 않으면 온 머리가 병들고, 마음은 피곤하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성한 곳 없이 상하고 멍들고 상처투성이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기도하여 문제를 깨닫고 돌이키라는 말씀입니다. 삶에 고난이 있습니까? 기도해야 합니다. “하나님 제가 무엇을 회개해야겠습니까? 어떤 부분이 하나님 앞에 올바르지 못합니까? 제가 변화되기를 원합니다” 이렇게 기도하면 승리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신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말씀을 아는데 순종하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까? 온전한 십일조, 드려야 할 시간, 돌이켜야 할 죄, 작은 이익 때문에 속이고 있는 부분들. 그러한 돌이키고 회개해야 할 부분을 해결하지 않으면 재앙은 끝나지 않습니다. 용서해야 할 사람이 있습니까? 용서해야 문제가 해결됩니다.
다윗은 자신이 풀어야 할 문제를 기도함 속에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기브온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기를 원하냐고 물었을 때 사울이 기브온 백성들을 죽인 일로 인한 문제임을 알고 기브온 사람들의 원함대로 사울의 자손 7명을 내어 주었을 때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이 문제는 사울 왕이 범한 문제였습니다. 다윗에게 무슨 책임이 있습니까? 그런데 3절을 보면 다윗이 책임을 집니다. “다윗이 기브온 사람에게 물었다. “내가 당신들에게 어떻게 하면 좋겠소? 내가 무엇으로 보상을 하여야, 주님의 소유인 이 백성에게 복을 빌어 주시겠소?”
다윗은 사울의 책임이라고 하지 않고 자신이 책임을 집니다. 내가 어떻게 속죄해야겠느냐고 묻습니다. 사람들이 문제가 풀리지 않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다들 남의 탓으로 돌리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문제의 자신의 어려움을 자기 탓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부모 탓, 내 남편 탓, 상황 탓, 교회 탓. 그런 식으로 나오면 문제는 도저히 풀 수 없습니다. 그런 사람 마음속에는 원망만 가득합니다. 자기 합리화를 합니다. “내 탓, 내 문제 내가 책임지겠다고 하나님 앞에 회개하며 나올 때 문제가 해결되는 것입니다.
삶 가운데 풀리지 않는 문제가 있다면 기도해야 합니다. 기도해서 원인을 빨리 파악해야 합니다. 오래 끌지 말아야 합니다. 덮어 놓는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깨닫게 해주시는 것으로 풀어야 합니다. 기도로 풀어야 합니다. 그리고 언제나 모든 문제를 책임지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때 미래의 길이 열리고 문제가 풀리는 은혜의 역사가 나타날 것입니다. 저와 여러분들이 기도로 문제를 푸는 인생이 되기를 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