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에베소서 6:4

4 또 아버지 된 이 여러분, 여러분의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주님의 훈련과 훈계로 기르십시오.

—————————————————

오늘 본문의 말씀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부모의 모습에 대한 말씀입니다. 단 한구절이지만 하나님을 믿고 따르는 성도된 부모로서 자녀들에게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한가지씩을 명령하십니다. 다시 한번 4절을 보겠습니다. “또 아버지 된 이 여러분, 여러분의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주님의 훈련과 훈계로 기르십시오”자녀들에게 하지 말아야 할 것은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녀들에게 해야 할 것은 자녀를 주의 교훈과 훈계로 기르라는 것입니다.

골로새서 3:21절을 보면 “어버이 된 이 여러분, 여러분의 자녀들을 격분하게 하지 마십시오. 그들의 의기를 꺾지 않아야 합니다”라고 같은 내용의 명령이 있습니다. 에베소서에서 명하신 노엽게 하지 말라는 말씀을 격분하게 하지 말라 라는 말씀과 함께 그들의 의기를 꺾지 말라고 명령합니다.

골로새서 3장에서 말하는 자녀들의 기를 꺾지 말라고 하셨는데 부모가 어떻게 대할 때 자녀들이 기가 꺾입니까? 첫째는 부모가 칭찬을 하지 않고 자꾸만 잘못만 지적하면 기가 꺾입니다. 한국 부모님들, 아버지들이 특별히 칭찬에 약한 것 같습니다. 자녀의 성적이 좋지 않으면 얼마나 책망하고 비난합니까? 그러다가 나름 열심히 해서 80점 받았다고 하면 칭찬하기 보다도 아직 A 아니야. 조금 더 열심히 해 그러다가 100점 맞으면 당연하게 생각하고 “긴장 놓치지 마. 금방 떨어져” 라고 조언합니다. 그러다가 90점 맞으면 “내가 뭐라고 그랬어. 정신차려” 하는 식입니다. 자녀들이 칭찬과 인정하는 말을 들을 때 기가 사는 것입니다. 그런데 야단 맞고, 더 밀어 부치는 말만 들으면 기가 꺽이는 겁니다.

전에 들었던 이야기 중에 어느 아버님이 자녀 성적표를 받았는데 수우미양가 로 평가하던 때에 모든 과목을 다 양을 맞고 한 과목만 우를 받은 것입니다. 대부분의 부모라면 한탄하면서 이게 뭐냐? 라고 야단을 쳤을텐데 이 아버님은 “아들. 잘했어. 그런데 한 과목만 집중하지 말고 다른 과목도 조금 신경써” 라고 했다는 것입니다.

자녀들이 분이 나고 기가 꺾이는 것은 대안을 제안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녀들을 키우는 부모님들의 어휘를 보면 대부분 부정적입니다. 하지 말아라, 만지지 말아라, 떠들지 말아라, 뛰지 말아라. 하라는 대안이 없이 하지 말라는 소리만 들으면 기가 죽고 분이 생깁니다.

그리고 비교할 때 기가 꺽이고 분노함이 생깁니다. 하나님께서 각 사람을 다르게 만드셨기에 장점이 서로 다릅니다. 그런데 우리들은 하나님께서 자녀에게 주신 장점을 보고 인정하고 칭찬하기 보다는 자녀가 가지지 않은 것을 봅니다. 그리고 다른 자녀들이 잘하는 것을 부러워하고 다른 자녀들을 칭찬하며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보이고 말을 알게 모르게 합니다. “너 누구 좀 닮아봐라. 누구 반만이라도 따라가라” 그러한 비교를 할 때 마음에 분이 생기고 기가 죽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는 자녀들에게 각자 필요한 은사와 재능을 주셨음을 알아야 합니다. 누구처럼 되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녀의 장점을 드러내고 더 키워줄 수 있도록 격려하고 기를 살려주는 칭찬과 인정, 이끌어가는 것이 부모가 해야 할 일이라는 것입니다.

또한 부모의 경험을 절대화 시킬 때 자녀들이 분노하고 의기가 꺾입니다. 부모가 자녀들을 볼 때 늘 부족해 보입니다. 그래서 자주 하는 말이 “나 때는 말이야” 라는 말을 합니다. “나는 어렵게 자랐기에 열심히 했다. 고생했다. 이렇게 했다. 저렇게 했다” 라는 말들을 자녀들이 맘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할 때 합니다. 자녀들 입장에서 볼 때는 부모님들이 처했던 시대와 환경이 다릅니다. 그런데 자꾸만 부모의 경험을 절대화해서 말하니까 자녀들이 부모의 말에 귀를 막고 말을 더 듣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자녀들을 믿어 주지 않을 때 입니다. 부모가 자기를 믿어 주지 못할 때 분이 생기고 기가 꺾입니다. 자녀들을 믿지 못하는 큰 것 중에 하나가 과잉보호입니다. 부모들이 자녀를 사랑한다고 해서 과잉보호를 합니다. 누구를 만나지도 못하게 하고, 어디를 가지도 못하게 하고, 조금 위험하다고 생각하면 모든 것을 다 막습니다. 그런데 자녀들에게는 그것이 어떤 메세지를 줍니까? 너는 우리 없이는 제 일을 처리하지 못한다는 메시지입니다. 과잉보호 받고 자란 아이들이 나약합니다.

그래서 자녀들에게는 실수할 수 있는 여유를 주어야 합니다. 너무 믿어줘도 문제가 있고 안 믿어 줘도 문제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믿어줘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 낫습니다. 우리들은 자녀들을 키우면서 기를 꺾고 분을 키워주는 말과 행동을 합니다. 우리 성도님들은 이것을 알아서 자녀들의 분과 기를 꺾지 않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부탁드립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하지 말아야 할 일은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해야 할 일은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4절에 “주님의 훈련과 훈계로 기르십시오” 하나님의 말씀으로 가르치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삶에 기준을 세우게 하고 하나님의 말씀대로 살아가도록 훈련하라는 것입니다. 이 시대는 유치원부터 수학, 영어, 체육을 가르쳐서 좋은 대학에 들어갈 준비를 합니다. 다 영재를 만드는 교육입니다. 자녀에게 공부를 가르치는 것 중요합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부모된 우리들에게 자녀를 주의 훈련과 훈계로 가르치라고 명하십니다. 하나님을 알고, 경외하는 신앙의 사람, 하나님의 말씀을 바로 알고 그 말씀과 뜻대로 살아가도록 가르치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경험하지만 신앙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인 것입니다.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훈련하고 훈계할 수 있습니까?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입니까? 교회에다 맡기는 것입니까? 아닙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녀들에게 본을 보여 주는 것입니다. 삶을 통해 가르쳐야 합니다. 기도하는 법을 집에서 보여 주는 것입니다. 말씀을 매일 읽는 것을 부모가 보여 주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삶의 우선으로 섬기는 모습. 주일을 하나님의 날로, 예배의 자리로 가는 모습, 하나님을 전심으로 찬양하고 예배하고 섬기는 모습. 더 나아가 주 안에서, 주님과 함께 생활하는 모습, 말씀대로 사랑하고, 희생하고, 모든 일에 감사하고 기뻐하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입니다.

저도 보면 목회보다 남편으로, 아버지로 사는 것이 더 어려운 것 같습니다. 밖에서는 나를 감출 수 있지만 가정에서는 감출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아니, 밖에 있는 사람들이 아니 가족인 아내가, 남편이, 자녀가 나를 향하여 “우리 아버지는, 내 남편은, 내 아내는 진정 믿음의 사람입니다. 하나님의 사람입니다. 그 신앙을 제가 인정합니다. 존경합니다” 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면 그것이 인생에서, 신앙에서 성공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동안 함께 나눈 에베소의 결혼과 가정에 대한 “교회가 그리스도께 순종하듯이, 아내도 모든 일에 남편에게 순종하십시오. 아내를 사랑하기를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셔서 교회를 위하여 자신을 내주심 같이 하십시오. 각각 자기 아내를 자기 몸 같이 사랑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중하십시오. 여러분의 부모에게 순종하십시오. 부모를 공경하십시오. 여러분의 자녀를 노엽게 하지 말고, 주님의 훈련과 훈계로 기르십시오” 라는 하나님의 말씀과 명령을 잘 순종하여 행복하고 축복된 부부와 가정이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Category말씀 묵상
Follow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