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호세아 2:14-23
14 “그러므로 이제 내가 그를 꾀어서, 빈 들로 데리고 가겠다. 거기에서 내가 그를 다정한 말로 달래 주겠다.
15 그런 다음에, 내가 거기에서 포도원을 그에게 되돌려 주고, 아골 평원이 희망의 문이 되게 하면, 그는 젊을 때처럼, 이집트 땅에서 올라올 때처럼, 거기에서 나를 기쁘게 대할 것이다.
16 그 날에 너는 나를 ‘나의 남편’이라고 부르고, 다시는 ‘나의 주인’이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 나 주의 말이다.
17 그 때에 나는 그의 입에서 바알 신들의 이름을 모두 없애고, 바알 신들의 이름을 부르는 자들이 다시는 없도록 하겠다.
18 그 날에는 내가 이스라엘 백성을 생각하고, 들짐승과 공중의 새와 땅의 벌레와 언약을 맺고, 활과 칼을 꺾어버리며 땅에서 전쟁을 없애어, 이스라엘 백성이 마음 놓고 살 수 있게 하겠다.
19 그 때에 내가 너를 영원히 아내로 맞아들이고, 너에게 정의와 공평으로 대하고, 너에게 변함없는 사랑과 긍휼을 보여 주고, 너를 아내로 삼겠다.
20 내가 너에게 성실한 마음으로 너와 결혼하겠다. 그러면 너는 나 주를 바로 알 것이다.
21 그 날에 내가 응답할 것이다. 나 주의 말이다. 나는 하늘에 응답하고, 하늘은 땅에 응답하고,
22 땅은 곡식과 포도주와 올리브 기름에 응답하고, 이 먹거리들은 이스르엘에 응답할 것이다.
23 그 때에 내가 이스라엘을 이 땅에 심어서 나의 백성으로 키우고, 로루하마를 사랑하여 루하마가 되게 할 것이다. 로암미에게 ‘이제 너는 암미다!’ 하고 내가 말하면, 그가 나에게 ‘주님은 나의 하나님이십니다!’ 하고 대답할 것이다.”
———————————————————-
우리가 호세아서를 1장과 2장을 살펴 보고 있지만 반복되는 것이 하나님께서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을 섬기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하여 너희가 돌이키고 회개하지 않으면 심판하고 멸망시키겠다고 강하게 경고하십니다. 호세아와 고멜과의 사이에서 낳은 세 자녀들의 이름을 아스르엘 즉 ‘흩어버리겠다’ 라고 하시고 둘째 딸의 이름을 로루하마 ‘긍휼과 은혜를 받지 못한자’ 그리고 셋째 아들의 이름을 로암미 ‘내 백성이 아니다’ 라고 하시며 더 이상 은혜를 베풀지 않고 흩어버리고 멸망시키겠다고 하십니다. 그리고 그 심판의 날에 너희가 믿고 섬기던 우상에게 간구하고 도움을 청해도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해 사막의 마른 땅, 갈라진 땅과 같이 목마름 가운데 망할 것이라고 하십니다.
하지만 또 다시 내게만 돌아오면 ‘로루하마’ 즉 ‘긍휼과 은혜를 받지 못한 자’에서 ‘로하마’ 즉 ‘은혜를 입은 자’ 가 될 것이고 ‘로암미’ ‘내 백성이 아니다’에서 ‘암미’ 즉 ‘나의 백성. 살아계신 하나님의 자녀’ 가 될 것이라는 회복과 소망의 말씀을 주십니다. 그렇습니다. 하나님은 은혜와 긍휼이 넘치시는 분이십니다. 우리가 망하는 것이 아닌 회복되어 놀라운 하나님의 축복속에 사랑의 관계를 누리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읽은 본문 14절부터 23절에 다시 한번 회개하고 돌이키면 어떻게 회복시키실 것인지, 어떠한 축복을 다시 허락하실지를 약속하시는 말씀을 주십니다” 14절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내가 그를 꾀어서, 빈 들로 데리고 가겠다. 거기에서 내가 그를 다정한 말로 달래 주겠다” ‘꾀어서 다정한 말로 달래 주겠다’ 라고 번역되어 있기에 속이고 나쁜 길로 인도하려는 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여전히 죄악과 우상숭배에 빠져 타락하고 죄의 심판과 저주 아래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 회복, 치유하시기 위해, 설득하고 깨닫게 하기 위해서 빈들로 데리고 가겠다는 것입니다.
빈들, 즉 거친 광야는 내 힘과 능력으로는 살 수 없는 곳입니다. 즉 하나님만 의지할 수밖에 없는 곳입니다. 하나님만 바라고, 하나님만 의지하고, 하나님만 따라야 하는 믿음을 배울 수 있는 곳이 빈들, 즉 광야입니다. 그렇기에 하나님께서 이집트에서 노예생활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가나안 땅에 정착시키기 전에 광야로 이끌어 하나님만 바라고 의지하며 사는 법을 가르치신 것입니다.
그렇기에 14절에 하나님께서 회개하고 돌이켜야 할 이스라엘 백성들을 빈 들로 데리고 가겠다는 것입니다. 그곳에서 덕지덕지 붙어 있는 세상의 욕심과 세상을 의지하던 죄, 우상을 바라고 섬기던 죄, 그 모든 것들을 시련과 연단, 환난을 통하여 회복시키시겠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선하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시련과 문제 환난을 허락하시는 이유인 것입니다.
그래서 그러한 빈들로 이끌어 고난과 시련, 환난을 통과하게 한 후에 이러한 축복을 주시겠다고 약속하시는 것입니다. 15절입니다. “그런 다음에, 내가 거기에서 포도원을 그에게 되돌려 주고, 아골 평원이 희망의 문이 되게 하면, 그는 젊을 때처럼, 이집트 땅에서 올라올 때처럼, 거기에서 나를 기쁘게 대할 것이다”
아골 골짜기는 우리가 잘 알듯이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을 정복하기 위해서 첫 번째 성인 여리고 성을 정복했을 때 모든 탈취한 물품은 다 하나님께 드리라고 하신 명령에 탐욕으로 아간이 불순종하여 은과 금과 옷을 자기 장막에 숨긴 죄로 인해 아이 성 전투에서 패배하게 된 후에 범죄자 아간을 찾아내어 돌로 쳐 죽이고 범죄에 사용되었던 물건들을 불에 태워 버린, 하나님의 죄에 대한 심판과 진노가 있었던 곳이 바로 아골 골짜기였습니다. 아골은 죄의 심판이 있는 무서운 곳입니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그 아골을 희망의 문이 되게 하고 그곳을 포도원으로 주어 그로 하여금 이집트 노예생활에서 고통 받음에서 벗어나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왔을 때처럼 그곳에서 하나님을 기뻐하게 하겠다고 하십니다.
그리고 16절에 “그 날에 너는 나를 ‘나의 남편’이라고 부르고, 다시는 ‘나의 주인’이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 나 주의 말이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우상숭배한 ‘바알’ 이라는 이름의 뜻이 “주인, 군주” 라는 뜻입니다. 그렇기에 “다시는 나의 주인이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 라는 말씀의 의미는 바알을 더 이상 섬기지 않게 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2:2절에 하나님께서 하셨던 말씀인 “고발하여라. 나는 그의 남편이 아니다” 라고 하신 것을 번복하여서 16절에 그 날에 너는 나를 ‘나의 남편’이라고 부르게 될 것이다라고 약속하시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그날에 그동안 섬기던 우상들, 바알과 세상의 것들을 다 내려놓고 오직 하나님 한분만 섬기며 하나님만 사랑하며 예배하는 참된 예배자요, 하나님의 자녀요,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19-20절에 “그 때에 내가 너를 영원히 아내로 맞아들이고, 너에게 정의와 공평으로 대하고, 너에게 변함없는 사랑과 긍휼을 보여 주고, 너를 아내로 삼겠다. 내가 너에게 성실한 마음으로 너와 결혼하겠다. 그러면 너는 나 주를 바로 알 것이다” 라고 깨어진 관계, 깨어진 언약과 결혼의 관계를 회복시키시겠다고 약속하신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마음,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우리로 하여금 돌이켜 회개함으로 다시 사랑하시고, 다시 축복하셔서 놀라운 사랑의 관계로, 언약의 관계로, 축복의 관계 속으로 들어오게 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원하시는 것은 단 한가지 바로 그 사랑의 관계입니다. 하나님께서 복의 근원이시오, 우리를 어느 누구보다 사랑하시는 분이심을 알고 그 분을 의지하고, 바라보고, 그 말씀대로 순종하는 삶을 사는 것입니다.
그리하면 놀라운 축복으로 축복하십니다. 그것이 21-23절의 말씀입니다. “그 날에 내가 응답할 것이다. 나 주의 말이다. 나는 하늘에 응답하고, 하늘은 땅에 응답하고, 땅은 곡식과 포도주와 올리브 기름에 응답하고, 이 먹거리들은 이스르엘에 응답할 것이다. 그 때에 내가 이스라엘을 이 땅에 심어서 나의 백성으로 키우고, 로루하마를 사랑하여 루하마가 되게 할 것이다. 로암미에게 ‘이제 너는 암미다!’ 하고 내가 말하면, 그가 나에게 ‘주님은 나의 하나님이십니다!’ 하고 대답할 것이다”
우리의 삶의 참된 축복은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속에 주어지는 것입니다. 참된 축복, 참된 평화, 참된 행복, 참된 풍요함은 하나님을 통하여 부어지는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 사랑의 관계 속에서 우리의 영혼이 잘 되는 것이 참된 축복입니다. 그렇기에 요한3서에 ‘사랑하는 자여 네 영혼이 잘 됨 같이 범사가 잘되고 강건하기를 간구하노라’라고 하신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본문을 통하여 “너는 나의 암미, 나의 백성이요 사랑하는 자녀라. 하늘과 땅의 축복, 곡식과 포도주와 올리브 기름으로 부어 주겠다. 너는 나를 향하여 주님은 나의 하나님이십니다” 라고 기쁨으로 찬양하고 감사하는 삶을 누리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깨달아 마음을 다해 하나님을 사랑하고, 예배하고, 순종하고, 믿고 의지하는 신앙의 삶을 살아가기를 축원합니다.